건축학도로서 꼭 읽어야할 건축책(건축이론) 100선 프로젝트(수정본 2015.12.13.)
https://blog.naver.com/jluke313/110099546780
001. Towards a New Architecture, Le Corbusier,
건축을 향하여 - 르 꼬르뷔제, 이관석(옮긴이) <동녘>
002. Precision on the Present State of Architecture and City Planning, Le Corbusier
프레시지옹 - 르 꼬르뷔제, 이관석/정진국(옮긴이) <동녘>
003. Urbanisme, Le Corbusier
도시계획, 정성현(옮긴이) <동녘>
004. Une petite maison 1923, Le Corbusier
작은집 - 르 꼬르뷔제, 이관석(옮긴이) <미건사>
005. Journey to the East, Le Corbusier
동방기행 - 르 꼬르뷔제, 조정훈(옮긴이) <다빈치>
근대건축 거장 르꼬르뷰제의... 새로운 시대를 위한 당당한 건축론 및 도시계획론, 부모님의 집을 짓는 과정을 담은 작은 이야기, 후일 자신의 건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젊은 시절 건축 여행기 등등...
006. Complexity and Contradiction in Architecture, Roberts Venturi
건축의 복합성과 대립성 - 로버트 벤츄리, 임창복(옮긴이) <동녘>
007. Learning from Las Vegas, Roberts Venturi
'소통이 불가능한' 모더니즘 건축에 반발하여 '언어적 소통'을 시도했던 포스트 모더니즘 건축의 사상적 배경을 마련한 건축가 로버트 벤츄리의 건축이론서! 특히 현란한 간판과 광고가 난무한 '비건축'의 도시 라스베가스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사례와 가치를 찾아내는 벤츄리의 눈은 본 받을 만한!
008. Signs Symbols and Architecture, Geoffrey Broadbent/Richard Bunt/Charles Jencks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다양한 건축적 고찰...
009. Poetics of Architecture: Theory of Design, Anthony C. Antoniades
건축 디자인을 위한 다양한 영감의 원천을 보여주는~
010. Redefining Designing: From Form to Experience, C. Thomas Mitchell
건축의 본질은 형태가 아닌 경험!
011. The Timeless Way of Building, Christopher Alexander
건축, 도시 형태론 1, 한근배(옮긴이) <태림문화사>
영원의 건축, 한진영(옮긴이), 이정은(감수) <안그라픽스>
012. A Pattern Language, Christopher Alexander
건축, 도시 형태론 2, 한근배(옮긴이) <태림문화사>
패턴 랭귀지 - 도시 건축 시공, 이용근/양시관/이수빈(옮긴이) <인사이트>
건축 유형학의 대부 크리스토퍼 알렉산더의 건축 고전!
013. Meaning in Western Architecture, Christian Norberg-Schulz
서양건축의 본질적의미 <세진사>
014. Genius Loci: Towards a phenomenology of Architecture, Christian Norberg-Schulz
장소의 혼 <태림문화사>
015. Existence, Space&Architecture, Christian Norberg-Schulz
공간, 그리고 건축 <태림문화사>
현상학적 관점에서 건축과 인간, 공간과 장소를 이야기하는, 철학적인 깊이 만큼이나 문학적인 수려함에 감동하는 노버그 슐츠의 명저들!
016. Delirious New York, Rem Koolhaas
정신착란증(병)의 뉴욕 <태림문화사>
불확정적인 현대 도시의 삶을 꿰뚫어 본, 당시 20대 건축가였던 렘 쿨하스의 통찰력이 놀랍기만 한!
017. S M L XL, Rem Koolhass
렘쿨하스 자신의 작품과 이론을 통해 현대 건축과 도시를 바라보는... 특히 유명 북디자이너 Bruce Mao의 독특한 편집까지 같이 경험할 수 있는...
018. Architectural Principles in the Age of Humanism, Rudolf Wittkower
르네상스 건축의 원리 <대우출판사>
019. Interpreting the Renaissance, Manfred Tafuri
르네상스 건축을 건축의 황금기라고 주장하는 비트코버, 현대적 관점에서 르네상스 건축을 비평하는 타푸리, 건축을 하나의 독자적 영역이라는 믿음을 바탕으로 르네상스 건축을 비례와 양식을 통해 해석하는 비트코버, 정치 경제 사회 기술과의 다중적인 관계 속에서 르네상스 건축을 해석하는 타푸리, 역사를 양식론과 관계론의 맥락에서 비교하여 같이 읽어야 할 두 책!
020. Modern Architecture: A Critical History, Kenneth Frampton
현대건축사 1/2 <세진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과학 등 다양한 영역 간의 역학적 관계를 통해 근대건축의 탄생과 현대 건축으로의 전이를 설명하는, 현존 최고의 건축이론가/역사가 케네스 프렘튼의 명저!
021. Collage City, Colin Rowe & Fred Koetter
022. The Mathematics of the Ideal Villa and Other Essays, Colin Rowe
꼬르뷰제의 평면과 르네상스 건축가 팔라디오의 평면과의 상관관계, 즉물적 투명성과 현상적 투명성의 차이 등등... 건축이론가 콜린 로우의 흥미로운 주장과 이론들~
023. Translations from Drawing to Building and Other Essays, Robin Evans
건축 도면에서 역사까지, 아이젠만에서 미스까지 넘나들며, 주류의 건축사가와 이론가들이 보지 못하는 새로운 가치와 의미를 찾아내는 천재 건축이론가 로빈 에반스의 주옥 같은 글들...
024. Ornament and Crime: Selected Essays, Adolf Loos
아돌프 로스 장식과 범죄, 현미정(옮긴이) <소오건축>
아돌포 로스의 건축예술, 오공훈(옮긴이)<안그라픽스>
19세기말 20세기 초반 산업혁명과 자본주의의 태동기에, 건축 뿐 아니라 가구, 패션, 보석, 도예, 출판 영역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공예(건축) 교육과 디자인 전반에 걸쳐 끊임없이 도덕성의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시대에 맞는 디자인을 주장한 건축가이자 문화 개혁가인 아돌프 로스의 명저! 근대건축 거장 르꼬르뷔제 역시 아돌프 로스의 '장식과 죄악'이 없었다면 자신의 건축이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했다는...
025. The Architecture of the City, Aldo Rossi
도시의 건축, 오경근(옮긴이) <동녘>
026. Space Time and Architecture, Sigfried Giedeon
공간, 시간, 건축, 김경준(옮긴이) <시공문화사>
기술과 예술의 변증접적 관점에서 근대 건축을 논하는 건축 이론서/역사서의 고전!
027. The Tao of Architecture, Amos Ih Tiao Chang
건축공간과 노자사상 <기문당>
동양 철학, 특히 노자 사상을 바탕으로 (근 현대) 건축 공간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독특한 책~
028. Between Silence and Light: Spirit in the Architecture of Louis I. Kahn, John Lobell
침묵과 빛 (Louis I. Kahn), 김경준(옮긴이) <시공문화사>
029. Theoretical Anxiety and Design Strategies in the Work of Eight Contemporary
Architects, Rafael Moneo
라파엘 모네오가 말하는 8인의 현대건축가 - 라파엘 모네오 <공간사>
030. Architecture and Utopia: Design and Capitalist Development, Manfred Tafuri
건축과 유토피아: 디자인과 자본주의 발전 <태림문화사>
031. Theories and History of Architecture, Manfred Tafuri
건축의 이론과 역사, 김일현(옮긴이) <동녘>
032. The Sphere and the Labyrinth: Avant-Gardes and Architecture from Piranesi to the
1970s, Manfred Tafuri
건축과 이데올로기, 건축과 자본주의, 건축과 정치의 상관 관계를 통렬하게 비판하는 건축이론계의 대부 만프레드 타푸리의 명저들...
033. Thinking Architecture, Peter Zumthor
페터 춤토르 건축을 생각하다, 장택수(옮긴이), 박창현(감수) <나무생각>
034. Atmosphere, Peter Zumthor
페터 춤토르 분위기, 장택수(옮긴이), 박창현(감수) <나무생각>
건축계 노벨상 '프리츠커상'을 받은 '건축장인' 스위스 건축가 피터 줌터의 건축관~
035. Sexuality and Space, Beatriz Colomina
섹슈얼리티와 공간, 김영옥/신경숙/강미선/이선영(옮긴이) <동녘>
다양한 페미니스트 건축이론과 비평, 특히 남성우월적 건축관 뒤집기가 매우 인상적인...
036. Privacy and Publicity: Modern Architecture as Mass Media, Beatriz Colomina
(남성우월주의의) 초월적이며 '성공한' 건축가 르꼬르뷰제와, 내재적이며 '바른' 건축가 아돌프 로스의 대비등 다양한 사례를 통해, 근현대 건축역사관에 만연한 남성우월주의를 통렬하게 비판!
037. The Architectural Uncanny: Essays in the Modern Unhomely, Anthony Vidler
(교조적인 근대 건축과 구분되는) 현대 건축의 '묘함'에 관한 흥미로운 이야기들~
038. The Eyes of the Skin: Architecture and the Sense, Juhani Pallasmaa
건축과 감각, 김훈(옮긴이) <SPACETIME(시공문화사)>
현상학적 관점에서, 진정한 건축적 감각은 (시각이 아닌) '촉각'?!
039. The Thinking Hand (Architectural Design Primer), Juhani Pallasmaa
040. Questions of Perception: Phenomenology of Architecture, Steven Holls/Juhani Pallasmaa
현상학적 건축가 스티븐 홀을 이해할 수 있는...
041.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and the Perspective Hinge, Alberto Perez-Gomez/Louise Pelletier
현상학적 맥락에서 건축적 경험과 표현 방식을 집요하게 파고드는...
042. Experiencing Architecture, Steen Eiler Rasmussen
건축예술의 체득 - 건축 보고 듣고 느끼기, 선형종(옮긴이) <야정문화사>
043. The Poetics of Space, Gaston Bachelard
공간의 시학 <동문선>
044. Architecture and Disjunction, Bernard Tschumi
건축과 해체, 류호창/서정연(옮긴이) <시+공>
해체주의 철학에 입각하여 모더니즘 건축과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을 비판하며, '사건' 개념을 통해 새로운 '프로그램'적 건축을 태동하게 만든 베르나르 츄미의 건축론!
045. Fragments: Architecture and the Unfinished, Robin Middleton(ed. Barry Bergdoll, Werner Oechslin)
046. Architecture from the Outside: Essays on Virtual and Real Space, Elizabeth Groz
건축, 그 바깥에서 - 잠재 공간과 현실 공간에 대한 에세이, 김재영/강소영/고유경/김경미/김애령/김연수/백소영/이경란/전혜숙(옮긴이) <그린비>
들뢰즈 철학자이자 페미니스트 철학자인 저자가 현대철학을 아우르며,'시간'과 '성'을 통해 건축을 새롭게 들여다보는...
047.The Artless Word: Mies Van Der Rohe on the Building Art, Fritz Neumeyer
꾸밈없는 언어 - 미스 반 데어 로에의 건축, 김무열/김영철(옮긴이) <동녘>
048. The Architect's Brain: Neuroscience, Creativity, and Architecture, Harry Francis Mallgrave
049. Architecture and Embodiment, Harry Francis Mallgrave
건축적 경험을 신경학 및 진화심리학적 맥락에서 해석하며, 추상적 건축이론이 아닌 체화된 경험으로서의 건축을 주장하는... '건축신경학/신경건축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는...
050. The Death of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Jane Jacobs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 유강은(옮긴이) <그린비>
현대 도시계획에 가장 큰 영향을 끼진 저서 중 하나로, 대규모 개발과 재개발을 바탕으로 하는 근대주의적 도시계획이 오히려 도시를 황폐화시킨다고 비판하며, 사회학적 측면에서 기존 도심 공동체의 가치를
이해하고, 활성화된 거리(sidewalk), 오래된 건물의 보존, 다양한 업종의 공존 등의 방법을 통해 진정 '
사람을 위한 도시'를 만들어가자고 제안한다.
051. Flesh and Stone: The Body and the City in Western Civilization, Richard Sennett
저명한 (도시)사회학자 리차드 세넷의 명저. 고대 아테네에서 현대의 뉴욕까지, 사람들이 어떻게 공간에서 움직이는지, 무엇을 보고 듣고 어떤 냄새를 맡는지, 어디서 먹는지, 어떻게 입는지, 어떻게 목욕하고 사랑하는지 등등, 다양한 육체적인 행위를 통해 도시의 삶을 생생하게 묘사하며, 우리의 '몸'이 어떻게 도시의 '돌'에 의해 만들어지는지... 동시에 우리 도시의 '돌'이 어떻게 우리의 '몸'에 의해 만들어지는지.
052. Architecture Theory since 1968, K. Michael Hays
1968년 이후의 건축이론, 봉일범(옮긴이) <시공문화사>
053. Theorizing a New Agenda for Architecture: An Anthology of Architectural Theory 1965
- 1995, Kate Nesbitt
Kenneth Frampton의 Modern Architecture: A Critical History에 이어 1960년대 이후의 현대 건축의 담론과 이론을 살펴볼 수 있는 요긴한 길잡이...
...
061. 감각의 단면: 승효상의 건축, 배형민, <동녘>
건축가 승효상의 작품과 이론을, 철학/미학/예술을 관통하는 놀라운 통찰력으로 설명하고 있는, 국내 최고의 건축이론서! 건축 '작가론'은 어떻게 써야 되는지 잘 보여주는 최고의 '교본'!
062. 김수근 건축론 : 한국건축의 새로운 이념형, 정인하 <시공문화사>
063. 시적 울림의 세계 : 김중업 건축론, 정인하 <시공문화사>
한국 현대건축 1세대 건축가 김수근/김중업을 이해하기 위해 꼭 읽어야하는 책!
064. 전환기의 한국 건축과 4.3그룹, 우동선/전봉희/박정현/배형민/송하엽/최원준/백진/김현섭/이종우 <집>
4.3 그룹을 통해 한국 현대건축 2세대를 공부하자! 외국 건축가만 참고할 것이 아니라, 우리 선배 건축
가들의 고민을 통해 우리의 건축에 대해 같이 고민하고 공부해봐야 하겠지요?
065. 건축에게 시대를 묻다 - 민현식의 한국 현대건축 읽기, 민현식 <돌베개>
건축가 민현식의 키워드를 통해 한국 현대건축가들을 이해하기~
066. 건축, 사유의 기호 - 승효상이 만난 20세기 불멸의 건축들, 승효상 <돌베개>
건축가 승효상의 눈으로 읽는 20세기 서양의 근현대 건축. 한국 건축가 읽는 서양 근현대 건축과 서양 근현대 건축가 자신의 말과 글을 서로 비교해보는 것도 흥미로울 듯!
...
071. 필로 아키텍처 - 현대건축과 공간 그리고 철학적 담론, 박영욱, <항연>
퐁티, 데리다, 들뢰즈, 등 현대 철학과의 관계 속에서 이해하는 근현대 건축...
072. 현대건축의 철학적 모험1: 위상학, 장용순, <미메시스>
073. 현대건축의 철학적 모험2: 은유와 생성, 장용순, <미메시스>
074. 현대건축의 철학적 모험3: 용해와 내재성,<미메시스>
075. 현대건축의 철학적 모험4: 생기론-철학 위에 쌓아 올린 현대건축,<미메시스>
들뢰즈 철학과 현대 건축과의 관계를, 놀라운 밀도와 범위로 보여주는 현대 건축/철학 필독서!
076.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이진경, <그린비>
근대적 '시간'과 '공간' 개념의 탄생에 대한 철학적 고찰...
077. 건축; 형태를 말하다, 라파엘 모네오 바예스(지은이), 이병기(옮긴이), <아키트윈스>
"2005년 라파엘 모네오가 마드리드 산 페르난도 왕립아카데미에서 발표한 '건축에서 자의성의 개념에 관하여'라는 제목의 소논문"을 바탕으로 구성된 책.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건축의 바탕에 깔려있는 '자의성'의 개념을 집요하고 절묘하게 끌어내는 참신한 연구!
078. 장식, 가우디 노트 1, 안토니 가우디(지은이), 이병기(옮긴이), <아키트윈스>
가우디의 건축을 제대로 이해하고 싶다면, 꼭 읽어봐야 할 필독서. 특히 아돌프 로스의 <장식과 죄악(Ornament and Crime)>과 르꼬르뷔제의 <오늘날의 장식예술>과 함께 읽어본다면, 근대건축과 현대건축을 관통하는 '장식'의 개념에 대해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079. 가우디 1928, 주셉 프란세스크 리폴스 이 폰타날스, 프란세스크 폴게라 이 그라시(지은이), 이병기
(옮긴이), <아키트윈스>
국내에 최초로 번역된 가우디 전기! 이제 가우디를 제대로 알아보자~*
...
081. 도시 건축의 새로운 상상력 - 우리 도시 건축의 방향성을 모색하다, 김성홍, <현암사>
렘쿨하스의 'Delirious New York'과 함께, 서양문화사대주의에 바탕을 둔 유럽 도시에 대한 막연한 동경심을 과감하게 떨쳐버리고, 서울 만의 독특한 매력을 찾아야한다는 깨달음을 준 책... 특히 도시와 건축의 경계에서 적절한 수치와 통계를 통해 얻어지는 설득력이 인상적!
082. 아파트 한국사회 - 단지 공화국에 갇힌 도시와 일상, 박인석, <현암사>
083. 아파트 - 공적 냉소와 사적 정열이 지배하는 사회, 박철수, <마티>
아파트/단지를 통해 대한민국 주거 공간의 문제점을 명쾌하게 들여다보는... 주거학의 필독서!
084. 사람 건축 도시, 정기용, <현실문화>
085. Architecture for the Poor: An Experiment in Rural Egypt, Hassan Fathy
이집트 구르나 마을 이야기, 정기용 옮김 <열화당>
사람을 위한 '사회적 건축'의 진수를 보여주는 고 정기용 선생님의 명저와 역저!
086. 발전소는 어떻게 미술관이 되었는가 - 유럽 산업유산 재생 프로젝트 탐구, 김정후, <돌베개>
근래들어 '도시재생'에 대한 관심도 많고 출판물도 많지만, '도시 재생' 제대로 알고 싶다면 꼭 읽어야하는 책!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그 과정에서 결과까지...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과 소통을 통해서만 가능한
'도시 재생'의 본질을 잘 보여주는 책!
087. 나는 튀는 도시보다 참한 도시가 좋다 - 정석 교수의 참한 도시가 좋다, 정석, <효형출판>
진정 사는 사람을 위한 도시를 '디자인'하고 싶다면 꼭 읽어봐야하는 책! 도시설계는 아름다운 축선이나 다이어그램, 정연한 숫자나 도표가 아닌...
...
090. 철학으로 읽는 옛집 -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왜 건축에 중독되었는가?, 함성호 <열림원>
과연 한국적 건축은 무엇인지, 한옥은 과연 한국적인지,... 조선시대 사대부의 공간을 통해 그런 질문을 던져본다.
091. 한국건축 중국건축 일본건축 - 동아시아 속 우리 건축이야기, 김동욱 <김영사>
...
101. 서울, 공간의 기억 기억의 공간, 조한, <돌베개>
장소의 기억과 나의 기억이 만나는 '시간/감동의 공간' 스무곳을 모은 이 책은, '감각적 주권'이자 '주체적 미학'에 대한 외침이다 - "어떤 사람에게는 자기 동네의 오래된 구멍가게가 사라진 일이 숭례문 소실만큼이나 슬픈 일 일 수 있다. 하지만 그런 감상은 흔히 ‘사적인’ 것으로 치부된다. 근대국가의 국민들은 자기 시선을 ‘국가적 시선’에 합치시키는 훈련을 받아온 사람들이다. 이 책은 평범한 사람들의 ‘사적인’ 경험과 시선도 장소를 역사화하는 힘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장소에 대한 통념에 전복과 탈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 책은 다양한 역사적 층위를 지닌 서울의 장소들에 대한 이야기이면서, 동시에 그 장소들에 의미를 부여하는 시선의 주권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래서 이 책은 자기 경험과 기억의 가치를 존중할 줄 아는 사람들이 만들어갈 서울의 미래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 전우용 역사학자
댓글 없음:
댓글 쓰기